
Project No.15
건들개 파노라마 *건들개 : 건입동의 옛 이름
건입동 마을공동체 복합센터
🥈
설계공모 2등
모든 장소는 장면을 기억하고 있다. 조선시대 떄부터 제주도의 관문으로서 많은 사람을 맞이한 풍경에서부터 오늘날까지, 건입동은 수 많은 사람들의 기억으로 응축되어 왔다.
제주항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언덕길에 위치하여 이곳 주변으로 마을과 자연, 그리고 사람들의 이야기가 녹아져 있다.
건입동과 얽힌 수 많은 사람의 장면들은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여며왔고,이제 또 다른 장면을 준비하고 있다. 건입동 마을 공동체 복합센터는 지역주민에게 새로운 장면을 통해 마을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 이다.
들어가며
개요
• 대지위치 : 제주시 건입동
• 설계년도 : 2023.05
• 대지면적 : 1,126.10㎡
• 건축면적 : 675.15㎡
• 연 면 적 : 1527.40㎡
• 규 모 : 4F
• 설계유형 : 현상공모
✈23년 5월.제주도 건입동에 위치한 한 현상 공모에 지원하였다.반드시 1등 하겠노라 라는 마음으로굳쎄게 시작했던 프로젝트.🐾치열했던 현장을 기록으로 남겨 놓고자 페이지를 작성해본ㄷr...✨

# 공모 사업의 목적
1. 지역주민의 복지, 문화, 여가 활동 등 공동체 활동을 공유하는 장소
2. 시설 이용의 편의성 및 운영 관리의 효율성이 있어야 함
3. 건입동 지역주민의 공동체 활동 및 문화 복지 서비스 확대
4.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성을 도모
이번 공모에서 사업 추진하는 의도와 NEEDS를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목적을 파악하는 시간을 갖었다.

1. 대지 레벨 고려
2. 옹벽은 되도록 보존하는 계획
3. 주변 지역과의 조화
4. 동선 체계화 (수직 / 수평)
5. 보차 분리 계획
6. 경제성 (관리, 운영, 입면)
7. 공간의 연계, 가변형 공간
8. 오픈 스페이스 조닝
(각 층 라운지, 휴게공간, 문화공간)
지침서 분석을 기반으로 지침서에서 말하고 있는 키워드를 잡아보았다!
우리가 판단한 대상지의 땅은 이형적인 땅에 옹벽이 있어 대지의 레벨을 다채롭게 활용해야 하고, 그로 인해 동선이 명쾌하게 풀릴 수 있는 디자인을 해야 했다.👀👀
이렇게 분석한 것을 토대로 단면 조닝 다이어그램을 구성했다.

Step 01 : Keyword Study

Step 02 : Section Zoning Diagram
지침서를 기반으로 단면을 배치 해 보았다.
- 절성토를 하지 않고 주차장을 2개층으로 분리하여 배치
- 층별 실들은 외부와 상호 관계를 맺도록
- 층별로 가변적 형태로 사용하기위하여 '홀'이
기능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아 아니라 홀 또한
하나의 연장 된 실로서 인식하여 구성해야 한다
는 판단이 되었다.


Step 03 : Site Analysis
대상지를 중심으로 이동동선과 주요 시설들을 조사했다.✍
1) 이 대상지를 이용하는 주 이용층은 남측에서 위치한 주거지역 사람들이 대부분 일 것이란 판단을 주었고, 차량보다는 주거지역에서 보행으로 이동하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대상지의 주변의 주요 시설로는 마 을의 정신적 얼이 되는 김만덕 할망에 대한 장소가 많았다.
3) 원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건입동은 마을을 살리기 위하여 마을 재생 사업소가 위치하고 있었다.

Step 04 : Site Story
이 지역은 사리봉과 산지천 (신선이 사는 물가) 아름다운 경치를 갖고 있는 마을이다. 물가 근처로 남아있는 '터'들이 많고 주민들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져 있는 장소이다.
건입동의 정신적 얼이 되신 김만덕 할망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런 김만덕 할망의 '얼'을 기억하고 닮아가고 싶어 한다.
그래서 그런지, 지역 주민들이 건입동 박물관 (건들개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던 유물을직접 기증하기도 했다고 한다.
주민들의 옛 기억에 대한 향수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고 이것이 주민들의 정체성이지 않을까? 란 생각이 들었다.



Step 05 : Siteplan Study
우리는 대안 배치를 잡을 때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작업했다.
1) 매스 위치
2) 주차 대안
3) 코어 배치
3가지를 고려하여 배치를 진행하였고, 가장 합리적인 안으로 좁혀가기 위해
각 ALT의 '장단점'을 구별했다.

Step 06 : Design Concept
건입동 마을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언덕위에 위치할 마을공동체는 주민들의 삶의 일부가 되야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위해 건물 자체가 돋보이는 것이 아닌 주변의 삶과 풍경을 담는 낮고 포근한 못습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건들개 파노라마'는 대상지 어느곳에서 들어오더라도 낮은 모습으로 위압적이지 않고 포근한 분위기를 연출할 것이다.

Step 07 : Design Alt Study
합리적인 배치안으로 PM이 원하는 디자인 방향을 잡아 4명의 소장님과 내가 각자 원하는 형태로 매스 디자인을 만들었다
(짧은 시간안에 뚝딱뚝딱 완성시키는 우리들이 머싯어 보여ㄸR🥇)
좋아 계획대로 되어가고 있어!

그렇게 해서 나온 결과물은!
Loading...



Masterplan
우리는 건물의 이용자들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했다. 하나는 보행자, 다른 하나는 차량 이용자. 주로 이 건물을 이용하는 주민들은 남쪽에 위치한 주거지역에서 보행으로 접근을 많이 할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북쪽은 보행자의 출입보다 차량 이용이 많을 것으로 판단했다.
동선과 평면 실 배치를 통해 합리적으로 계획하고자 코어 위치를 결정했다.
남북이 과감하게 열려진 마당과 그 마당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기대하고 계획했다.

Vertical Movement Diagram
우리는 레벨 차이가 많이 나는 이 땅에서 동선을 이질감 없이, 그리고 합리적인 동선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각 층들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되, 모든 층의 외부 마당들이 수직적으로 연결되면서 건물이 하나로 읽혀지길 원했다.
우리가 단면에서 보여주고 싶었던 계획은 '땅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활용을 잘 하였는가' 였다. 땅의 레벨과 각 실들의 연계, 그리고 외부 공간을 과감하게 열어주면서 프로그램실이 홀과 마당까지 연장되도록 계획했다. 건입동만의 풍경을 담는 '장소'로서의 계획을 하였다.

Section Detail
남향에서 들어오는 채광량에 대한 차양 효과와 실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주도록 계획하였다.




건입동 마을공동체 복합센터
• 대지위치 : 제주시 건입동 1003-8번지 외 7필지
• 설계년도 : 2023.05
• 대지면적 : 1,126.10㎡
• 건축면적 : 675.15㎡
• 연 면 적 : 1527.40㎡
• 규 모 : 4F
• 설계유형 : 현상공모